2 4 절 기
봄 |
입춘. 우수. 경칩. 춘분. 청명. 곡우 |
여름 |
입하. 소만. 망종. 하지. 소서. 대서 |
가을 |
입추. 처서. 백로. 추분. 한로. 상강 |
겨울 |
입동. 소설. 대설. 동지. 소한. 대한 |
고 |
24절기의 유래 우리 조상들이 써왔던 음력은 달의 운동에 근거하여 만들어지기 때문에 달의 변화는 잘 나타내 주지만 달의 움직임이 기준이므로 계절의 변화를 바로 표시할 수 없었다. 그래서 계절의 변화, 즉 태양의 움직임을 알려주는 24절기(또는 24기)를 도입하여 같이 사용하게 되었다. 절기(節氣)란 태양의 각도(황경-黃經)에 맞춰 1년을 15일 간격으로 24등분해서 계절을 구분한 것이다. 음력은 태양의 움직임을 24절기로 표시하여 주기 때문에 태음태양력 이라고 한다. 즉 달(태음)과 태양의 운동을 모두 고려하여 주는 역법이란 뜻이다. 예를 들면 입춘(入春)은 봄의 시작이며 망종(芒種)은 벼 논보리 등 곡식의 씨를 뿌리는 시기, 소한(小寒) 대한(大寒)은 한 겨울을 뜻하는 절기입니다. 따라서 계절을 나타내는 절기는 양력을 따른다. 24절기는 태양의 운동에 근거한 것으로 춘분점으로부터 태양이 움직이는 길인 황도를 따라 동쪽으로 15。간격으로 나누어 24점을 정하였을 때, 태양이 각 점을 지나는 시기를 말한다. 좀더 정확히 말하면 천구상에서 태양의 위치가 황도가 0도일 때 춘분, 15도일 때 청명, 300도일 때 대한으로 한다.
한국외국어대 박성래 교수는 "6세기 이후 우리 나라에서 절기를 사용한 것으로 보이는데 날짜는 음력을, 절기는 양력을 따랐다"고 말한바 있다.
역법은 태음력과 태양력(양력), 태음태양력(우리가 쓰는 음력) 등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태음력은 달의 공전 주기(평균 29.53059)를 한 달로 정해 만들었다. 음력과는 달리 윤달을 넣지 않아 계절과 일치하지 않는 단점이 있다. 이슬람 문화권에서는 아직도 이 역법을 사용한다. 우리 조상들이 사용하던 역법은 '태음태양력'이라고도 하는데 그렇다면 우리 조상들은 어떻게 절기를 쟀을까. |
■ 설날
차례, 정월 초하룻날 아침 일찍이 각 가정에서는 대청마루나 큰방에서 제사를 지내는데, 제상 뒤에는 병풍을 둘러치고 제상에는 설음식을 갖추어 놓는다. 조상의 신주, 곧 지방은 병풍에 붙이거나 위패일 경우에는 제상 위에 세워 놓고 차례를 지낸다. 차례방법은 유교의 가례형식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나, 가가례라는 말이 있듯이 집집마다 제물, 절차 등에 크고 작은 차이가 있다. 안택고사, 집안의 평안과 풍요를 위하여 집안에서 섬기는 가신을 대상으로 지내는 의례로 정초에 주로 한다.
세배, 설날 차례를 마친 뒤 조부모, 부모에게 절하고 새해 인사를 올리며, 가족끼리 아랫사람이 윗사람에게 절하는데, 이를 세배라고 한다. 세배가 끝나면 차례를 지낸 설음식으로 아침식사를 마친 뒤에 일가 친척과 이웃 어른들을 찾아가서 세배를 드린다. 덕담, 그 사람의 신분 또는 장유의 차이에 따라 소원하는 일로 서로 축하하는 것을 말한다. 혼인, 취직, 승진, 입학, 건강 등 그 사람의 형편과 처지에 맞는 말을 골라서 한다. '그렇게 되기를 축원하는 뜻'으로 하기도 하고, '그렇게 되었음을 축하하는 뜻'으로 하기도 한다.
설날의 흰떡국, 고대의 태양숭배 신앙에서 유래한다. 새해의 첫날이므로 밝음의 표시로 흰색의 떡을 사용한 것이며, 떡국의 떡을 둥글게 하는 것은 태양의 둥근 것을 상형화 한 것이다. 떡국과 시루떡, 전, 약과 등도 같은 의미다. 세찬, 차례라는 제사에 올리는 음식으로 '일상식'과 구별되는 '비일상식'이기 때문에 신성한 음식이다. "제사를 지내기 전에 제사음식을 먹으면 입이 돌아간다"는 속설은 바로 의례음식과 일반음식을 구별한다는 점을 말해주고 있다. 세주, 설날에 마시는 술은 데우지 않고 찬 술을 마시는데, <경도잡지>에 "술을 데우지 않는 것은 봄을 맞이하는 뜻이라고 되어 있다.
윷놀이, 실내외에서 누구나 즐길 수 있는 보편적인 놀이로 요즘에는 세시놀이로서 '열린 놀이'가 아니라, 전천후 '열린 놀이'가 되었다. 윷의 각 사위 이름인 도, 개, 걸, 모, 윷은 각기 돼지, 개, 양, 소, 말 등의 가축을 뜻한다고 한다. 널뛰기와 연날리기, 여자들이 즐기는 놀이가 널뛰기인 반면, 연날리기는 남자들이 즐기는 놀이다. 널뛰기는 추위를 잊게 하는 활기 넘치는 놀이다. 연날리기는 섣달 그믐에도 하지만, 본격적으로 연을 날리는 때는 정초부터 보름까지이다.
정초에는 한 해의 운수를 알아보기 위한 신수점, 농사의 풍흉을 알아보기 위한 농점 등 여러가지 점복이 있다. 가장 보편적인 것이 토정비결이다. 토정비결, 한학이나 역학을 통해서 본다. 한해의 운수와 매 달의 운수를 알 수 있다는 데에 토정비결은 특색이 있다. 토정비결은 태세, 월건, 일진의 셋으로 점을 치기 때문에 같은 해와 달과 날에 출생한 사람은 모두 같은 운수라고 규정하는 것이다. 청참, 새해 첫새벽에 거리로 나가 방향도 없이 돌아다니다가 사람의 소리든 짐승의 소리든 처음 들리는 '그 소리'로써 그해 1년 중 자기의 신수를 점치는 것을 청참이라고 한다.
부럼은 잣, 호두, 밤 등을 자기 나이 수대로 깨무는데 첫 번 것을 깨물어 안마당에 던지면서 '부럼이요','내 부스럼 가져가라'고 소리치면 1년 동안 병에 걸리지 않는다고 한다. 귀밝이술, 보름날 이른 새벽에 모두가 술을 조금씩 마시는데 이 술을 마시면 귀앓이병에 걸리지 않고, 귀가 밝아지고 좋은 소식을 듣는다고 한다. 이날 식전에 데우지 않은 술을 한잔씩 마신다. 더위팔기, 정월 이른 아침에 더위를 판다. 이날 아침 일찍 자기가 점찍어 놓은 사람의 이름을 불러 상대자가 대답을 하면 '내 더위 사가라'고 소리친다. 이렇게 더위를 팔면 여름 동안 더위를 먹지 않고 1년 동안 건강하게 지낸다고 한다. 이것은 자신의 더위 타는 병을 남에게 넘겨주려는 좋지 않은 심보인 것 같으나, 실제로는, 재치와 재빠름의 거동과 말닦음이 되기도 한다. 남한테 지지 않고 앞서 나가려는 마음 가짐이다. 또 '먼저 더위'란 말을 듣고 즉시 '내 더위'라고 대꾸를 해야지, 우물우물하면 정말더위가 온다고 하여 꼭 '내 더위'하고 응답한다.
이날 약식과 오곡밥을 먹는다. 이것은 먼 신라시대부터 비롯된 습속이다. 약식은 찹쌀, 대추, 곶감, 밥, 꿀, 잣, 고구마 같은 것을 섞어서 만든다. 오곡밥은 찹쌀, 콩, 팥, 수수, 조 등 다섯 가지 이상의 곡식을 섞어 지은 밥으로 맛이 좋다. 백가반, 남의 집 오곡밥을 먹어야 좋다는 말이 있어 이웃끼리 서로 나누어 먹는다. 이 날은 공부를 다섯번이나 아홉번하고, 밥도 다섯번이나 아홉번 먹어야 한다는 말이 있어 조금씩 여러번 먹기도 한다. 오곡밥을 먹음으로 복을 많이 얻고, 더불어 풍요를 기원한다는 뜻이 담겨 있다. 묵은나물, 나무를 미리 말려 두었다가 삶아 양념으로 무쳐 먹는다.
정월 대보름에 뜨는 만월은 새해의 첫번째 뜨는 달이기 때문에 사람들은 저녁 식사를 빨리 마치고 마을에서 달이 잘 보이는 망월대에 올라가 달 구경을 한다. 달을 보고 그해 농사의 풍흉을 점치기도 하고, 소원을 빌기도 한다. 다리밟기, 저녁밥을 먹은 후 남녀노소가 거리로 나와 다리를 밟으며 왔다갔다 한다. 1년동안 발병을 앓지 않으며, 이때에 흥겨운 노래도 부르고 춤도 추었다.
달맞이를 하고 논둑과 밭둑을 태운다. 이 동네 저 동네의 논둑 밭둑의 잡초와 잔디가 훨훨 타는 모습은 장관이다. 잡초 속에 숨어 있던 병균과 해충을 없애는 뜻도 있지만, 논밭의 잡귀를 쫓아 내어 깨끗하고 신성한 농토를 만들겠다는 신앙적인 의미도 있다. 역시 풍농을 기원한다. 지신밟기, 정초부터 대보름 무렵 마을의 풍물패가 집집마다 돌며 흥겹게 놀아주고 축원해 주는 것이다. 연날리기, 다리밟기, 놋다리밟기, 강강술래, 소놀이, 거북놀이, 탈놀음 등 온갖 민속놀이가 마을 공동으로 행해진다. 대부분이 풍농 기원의 의미를 지닌다. 대보름의 만월이 풍농을 상징하기 때문이다.
달점, 대보름날 달이 뜰 무렵이면 떠오르는 달을 다른 사람보다 먼저 보면 그해에 운수가 좋다고 한다. 달의 색깔이나 떠오르는 모양을 보고 점을 치기도 한다. 달빛이 붉으면 그해 여름이 가물 징조이고, 희면 비가 많이 올 징조다. 또 달의 윤곽이 사방이 짙으면 풍년이 들 징조이고, 엷으면 흉년이 들 징조이며 차이가 없으면 평년작이 될 징조다. 닭울음점, 새벽에 첫 닭이 우는 소리의 횟수로 농점을 친다. 열번 이상 울면 그해에 풍년이 든다고 한다. 주술성이 작용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
2월 초하루를 '영등날' 또는 '영등할머니날'이라고 하는데, 농사를 본격적으로 준비하는 때여서 머슴날이라고도 한다. 이 날은 바람신인 영등할머니가 내려오기 때문에 장독대에 정화수를 떠 놓고 그 해 농사가 잘 되기를 빈다. 또한 머슴날이기도 하여서 일년간 농사일을 할 일꾼들을 위해 술과 음식을 대접하고 마을잔치를 벌인다. 일꾼들로써는 겨울 동안 쉬었던 몸을 풀어 다시 농사일을 하기 위한 준비를 하는 것이다.
지네 같이 생긴 벌레로 노린 냄새를 풍기며, 여름철이면 음습한 곳이나 짚 썩은 곳 등 지저분한 곳에서 주로 산다. 이날 집안을 청결하게 하고 종이를 잘라서 향낭각씨의 노리개로 만들어 '향낭각씨속거천리'라는 한문 여덟자를 써서 서까래에 매달아 둔다. 이는 "향낭각씨는 속히 천리 밖으로 도망가라"는 뜻으로 향낭각씨는 곧 노리개를 미화한 표현이다. 또는 소나무 잎사귀를 추녀 끝에 꽂아 넣기도 한다.
금속 영등할머니를 맞이 하기 위하여 향토를 파다가 문 앞에 뿌려 신서하게 하며, 대나무에 오색 헝겊을 달아 사립문에 매달고, 부정한 사람의 출입을 금하며, 창도 바르지 않고 고운 옷을 입는 것도 삼간다. 논밭갈이는 물로, 땅을 다루거나 쌀을 집밖으로 내지 않는다. 한편 영등할머니가 하늘로 오르는 날 비가 오면 풍년이 들고, 조금 흐려도 길하다고 한다. 반드시 초하룻날이 아니더래도 열흘 안으로 좋은 날을 택해서 제물을 장만하여 재를 지낸다. 그리고 매일 물을 떠올린다.
2월 초하룻날 온 집안을 깨끗이 청소하고 종이에 '향랑각씨 속거천리'라는 글씨를 써서 붙인다.예전에는 가옥이 초가인데다 목조건물이어서 노래기가 성해 피해가 많았다. 또 이날 집집마다 콩을 볶아 먹는다. 콩을 볶을 때 '새알 볶아라. 쥐알 볶아라'하고 주언을 하는데, 이렇게 액을 물리치면 새와 쥐가 없어져서 곡식을 축내는 일이 없어진다고 한다.볏가리점, 충남 서산 지역에서는 대보름날 볏가릿대를 상징하는 긴 장대를 마을의 뜰에 세운다. 2월 초하룻날 장대 꼭대기에 달아매었던 곡물 주머니를 털어 보고 그 해 농사의 풍흉을 점친다. 주머니 안에 있던 곡물이 불어 있으면 그 해 그 곡물은 퓽년, 그대로 있으면 평년작 정도로 생각한다.
|
■삼짇날
음력 3월 3일을 삼짇날이라고 한다. 옛말에 '삼질'이라고도 하며, 한자로는 상사, 원사, 중삼, 상제, 답청절이라고도 쓴다. 삼짇날은 삼의 양이 겹친다는 의미이다. 상사는 삼월의 첫 뱀날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고 한다. 양수인 홀수 3자가 겹치는 날이어서 길일로 여기는데, 추위를 피해 강남으로 떠났던 제비도 이 날 돌아온다고 한다. 진달래
강남 갔던 제비도 삼짇날에는 옛집을 찾아온다. 이 무렵이면 날씨도 온화하고 산야에는 꽃들이 피기 시작한다. 산에 가득 피어 있는 진달래꽃을 뜯어다가 쌀가루에 반죽하여 참기름을 발라서 튀겨 먹었으니, 꽃전이라고 했다. 꽃전(화전)은 봄의 입맛을 한층 북돋아 주며, 시식으로 풍류있는 별미에 속한다. 혹은 녹두가루에 붉은 색 물을 들여 그것을 꿀물에 띄운 것을 수면이라고 하며 이것들을 시절음식으로 젯상에도 오른다.
이 날 장을 담그면 맛이 좋다고 하며, 집안수리를 한다. 아울러 농경제를 행함으로서 풍년을 기원하기도 한다. 풀싸움과 풀각시놀음 사내 아이들은 물이 오른 버드나무 가지를 꺽어 피리를 만들어 불면서 놀이를 즐기고, 계집아이들은 대나무쪽에다 풀을 뜯어 각시인형을 만들어 각시놀음을 즐기기도 한다.
멱감기 삼짇날 머리를 감으면 머리카락에 윤기가 돌고 아름답기 때문에 부녀자들은 이날 냇가로 몰려가 머리를 감기도 했다.
동지 후 105일째 되는 날로 잡는다. 이는 중국의 고사에서 유래된 풍습으로 전해진다. 한식은 글자 그대로 더운 음식 을 피하고 찬 음식을 먹어야한다는 속신이 있어, 한식 또는한식날이라 하였다. 중국 진나라 충신 개자추가 간신에게 몰려서 면산에 가서 숨어 있었는데, 진문공이 개자추의 충성을 알고 불렀으나 나오지 않았다. 도리 없이 면산에 불을 놓았으나 개자추는 나오지 않고 불에 타서 죽고 말았다. 그 후부터 그를 애도하는 뜻에서 이 날은 불을 쓰지 않기로 하고 찬음식을 먹었다
어느 해나 청명 안팎에 든다. 이 날 비가 오면 '물한식'이라고 하여 그 해에 풍년이 든다는 속신이 있다. 또 한식날 천둥이 치면 흉년이 들 뿐 아니라 나라에도 불행한 일이 있다고 해서 매우 꺼려한다. 한식의 유래와 관련하여 이 날은 더운밥을 피하고 찬밥을 먹는다고는 하나 잘 지켜지지 않는다. 장담그기, 3월이 되면 날이 따뜻하고 볕이 가장 많은 날을 가린다. 그 중에서도 3월 들어 첫번째 맞이하는 말날에 간장을 담그면 가장 맛이 좋다고 하여 현재까지도 주로 말날에 간장을 주로 담근다.
전통사회의 농가에서는 농번기에 접어들어 농사일을 서두른다. 이 시기의 농사일로는 가래지, 논둑 다지기, 논갈이, 못자리 만들기 등을 들 수 있다.
한식은 조선시대에 설날, 단오, 추석과 함께 사대명절에 속했다. 이 날 각 가정에서 제사 음식을 마련하여 제사를 지내는데, 이를 '절사'라고 한다. 또한 여러 가지 주과를 마련하여 성묘를 하기도 한다. 이때 조상의 묘가 헐었으면 떼를 다시 입히고 봉분을 개수하기도 하는데, 이를 "개사초"라고 한다. 그러나 한식이 음력 2월에 들면 사초를 하지만, 음력 3월에 한식이 들면 사초를 하지 않는 것이 관례이다. 조선시대에 있어서 한식은 조상을 위한 제사와 환절기 불조심을 위한 금화의 의미가 강하다.
|
| |
우수(雨水) |
|
경칩(驚蟄) |
|
춘분(春分) |
|
청명(淸明) |
|
곡우(穀雨) |
|
입하(立夏) |
|
소만(小滿) |
|
망종(芒種) |
|
하지(夏至) |
|
소서(小暑) |
|
대서(大暑) |
|
| |
처서(處暑) |
|
백로(白露) |
|
추분(秋分) |
|
한로(寒露) |
|
상강(霜降) |
|
입동(立冬) |
|
소설(小雪) |
|
대설(大雪) |
|
동지(冬至) |
|
소한(小寒) |
|
대한(大寒) |
|
'서씨 가문 > 전통 예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조사 때 바른 한문표기법 (0) | 2017.12.01 |
---|---|
각종 경조사에 대한 인사법 (0) | 2017.12.01 |
조문 순서 (0) | 2017.12.01 |
나이(年齡)에 관한 호칭 (0) | 2017.12.01 |
지방 및 축문쓰기 (0) | 2017.12.01 |